티스토리 뷰

반응형

8비트 스트로크 주법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해보자.

8비트 스트로크 주법으로 연주하기 위해서는 박자를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야 한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다양한 코드와 함께 4비트 주법으로 연주하는 방법을 알아보았다. 여기까지 잘 숙지하였다면 4비트 연주에 충분히 익숙해졌을 것이다. 지금까지 했던 연주 주법은 기타를 연주하기 위한 기초였고 8비트 스트로크 주법은 대중가요를 포함한 대부분의 음악에서 기타 연주의 실제라고 볼 수 있다. 해당 주법으로 반주를 많이 하기 때문이다. 그럼 지금부터 8비트 스트로크 주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연주해보자.

1. 8비트 스트로크 주법을 위한 기본적인 연주 방법 이해하기

위에서 언급하였듯이 8비트 스트로크 주법은 기존의 주법보다 박자를 조금 더 세부적으로 나누어야 한다. 해당 주법을 악보에서 표현하기 위해서는 한 마디 안 총 8개의 8분 음표를 표기하여야 하고 일반적으로는 4개의 음표를 하나의 선으로 연결하여야 한다. 악보를 보는 방법에서 설명했듯이 음표에 아래에는 연주 주법을 표기하고 상단에는 연주를 위한 코드가 표기된다. 4박자에 맞춰 연습하는 것에 이미 익숙해졌으니 8박자 연주법으로 올바르게 연습해보자. 조금 어려울 수 있으니 익숙해질 수 있도록 코드를 잡지 않은 상태에서 최대한 천천히 연습하여 박자를 익히고 익숙해지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2. 8비트 스트로크 주법으로 E코드를 활용하여 연주하는 방법

8비트 스트로크 주법을 연주하는 것에 어느 정도 익숙해졌다면 지난 포스팅에서 배운 E코드를 활용하여 연주해보자. 음표의 하단에 다운과 업 연주법이 번갈아 가며 표기되어 있다고 가정하자. 8박자에 맞춰 연주해야 하므로 다운, 업 연주법을 하나로 묶어 총 4번을 반복하여야 한다. 또한 음표의 상단을 보면 E코드가 표기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E코드를 잡은 뒤 느린 속도로 다운과 업 연주법을 번갈아 가며 8박자로 연주해보자. 코드를 올바르게 잡아 소리를 잘 내도록 하여 연습하도록 한다. 박자 감각이 어느 정도 형성되었다고 판단이 들면 속도를 조금씩 높여 연주하도록 한다.

3. 8비트 스트로크 주법으로 A코드를 활용하여 조금 어렵게 연주하기

이번에는 8비트 스트로크를 조금 어려운 방법으로 연주할 것이다. 두 번째 음표와 여섯 번째 음표 아래에 새로운 기호를 표기할 것이다. 바로 점선으로 표기한 업 스트로크이다. 지금까지 알고 있었던 기호와 달리 점선으로 표기한 이유는 연주하지 않고 박자만 유기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주 방법을 거짓 스트로크라고 한다. 즉 스트로크의 형태만 유지한 채 실제로 연주하지 않는다. 이제 악보에 표기된 대로 A코드에 맞게 연주해보자. 처음에는 의식적으로 해야 하기 때문에 굉장히 어려울 수 있으므로 익숙해질 때까지 최대한 천천히 반복 연습한다.

4. A와 E를 혼합하여 8비트 스트로크 연주하기

각 코드를 8박자에 맞게 연주하였다면 이번에는 코드 변환 연습을 위해 A와 E를 혼합하여 8비트 스트로크 주법으로 연주해 볼 것이다. 첫마디와 두 번째 마디에 각각 A와 E가 표기되어 있을 것이다. 연주 주법은 3번째 내용에서 다룬 방법과 동일하게 연주한다. 다운, 업 연주법이 각 마디에서 4번씩 반복되는 상황에서 두 번째 음표와 여섯 번째 음표는 알려준 방법대로 기호를 떠올리며 실제로 연주하지 않은 채 형태와 박자만 유지한다. 첫 번째 마디의 A를 연주하였다면 두 번째 마디의 E로 최대한 신속하게 변환하여 같은 방법으로 연주한다.

 

지금까지 8비트 스트로크 주법에 대해 이해하고 기존에 배운 코드를 예시로 활용하여 해당 주법을 연습해보았다. 앞서 말했듯이 8비트 연주야말로 대중가요에서 정말 많이 활용하는 주법이기 때문에 박자와 속도에 대한 감각을 잘 익히고 익숙해질 수 있도록 연습해야 한다. 또한 점선으로 표기하는 거짓 스트로크 기호를 다양한 음표에 배치하여 여러 스타일을 구성해보는 연습도 함께 하기를 권장한다. 통기타 연주의 가장 기본은 다운 업 연주법을 일정하게 반복하며 헛 연주법을 통하여 박자를 다양하게 구성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다음 포스팅에서는 카포를 주제로 다루어 볼 것이다.

반응형
반응형